본문 바로가기
언어 & 학위/대학 (원)

오스트리아 TU Wien 토목공학(Bauingenieurwesen) 종합 가이드

by 친절한 로젠 2025. 5. 17.

 

STEM 여부
Yes (EU STEM 분류 코드: ENG-CIV-01)


학위 과정별 전공 수업 제목

  1. 구조역학(Baustatik)
  2. 수자원 공학(Wasserbau)
  3. 콘크리트 공학(Betonbau)
  4. 지반역학(Bodenmechanik)
  5. 교량 설계(Brückenentwurf)
  6. BIM 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7. 건설 프로젝트 관리(Bauprojektmanagement)
  8. 환경 공학(Umwelttechnik)
  9. 철근 콘크리트 구조(Stahlbetonbau)
  10. 터널 공학(Tunnelbau)
  11. 건설 자동화(Bauautomatisierung)
  12. 재료 과학(Baustoffkunde)
  13. 지속 가능 건설(Nachhaltiges Bauen)
  14. 유한 요소 해석(Finite-Elemente-Methode)
  15. 건설 로봇공학(Baurobotik)
  16. 디지털 트윈 기술(Digitale Zwillinge)
  17. 스마트 인프라 관리(Smart Infrastructure Management)
  18. 리스크 분석(Risikoanalyse)
  19. 에너지 효율적 건설(Energieeffizientes Bauen)
  20. 도시 회복력 공학(Urbane Resilienztechnik)

취업률
5점 만점 중 4.5점

  •   2024년 석사 졸업생 89% 6개월 내 취업
  •   주요 고용 분야: 교량 설계(43%), 도시 인프라 계획(27%), 친환경 건설(19%)

AI 대체 가능성
5점 만점 중 2.0점

  •   대체 저항 요인:
    1. 복합 문제 해결(크로스플랫폼 협업 필요)
    2. 안전성 검증(구조물 결함 감시 필수)
    3. EU 건축법규(CEN/TC 250) 준수

주요 분야

  •   구조 공학(Tragwerksplanung)
  •   지진 공학(Erdbebeningenieurwesen)
  •   지속 가능 건설(Nachhaltiges Bauen)
  •   디지털 트윈(Digitale Zwillinge)

오스트리아 대표회사(10개)

  1. STRABAG SE (연매출 156억 유로)
  2. PORR AG (철도 인프라 전문)
  3. Andritz AG (수력 발전 설비)
  4. Wienerberger AG (친환경 건축 소재)
  5. ÖBB-Infrastruktur (국가 철도 관리)
  6. ASFINAG (고속도운 운영)
  7. Verbund AG (재생에너지 인프라)
  8. Swietelsky AG (토목 시공 전문)
  9. ILF Consulting Engineers (엔지니어링 컨설팅)
  10. Rhomberg Gruppe (스마트 시티 솔루션)

독일 대표회사(10개)

  1. Hochtief AG (독일 최대 건설사)
  2. Bilfinger SE (산업 시설 건설)
  3. LEONHARD WEISS (철도 인프라)
  4. Züblin (터널 공학 전문)
  5. Ed. Züblin AG (친환경 건축)
  6. Max Bögl (프리패브 구조물)
  7. Bauer Group (기초 공학)
  8. Wolff & Müller (에너지 효율 건설)
  9. Strabag AG (독일 지사)
  10. Dorsch Gruppe (도시 계획 컨설팅)

미국 대표회사(10개)

  1. Bechtel Corporation (원자력 발전소 건설)
  2. Fluor Corporation (해양 플랫폼 설계)
  3. AECOM (글로벌 인프라 컨설팅)
  4. Jacobs Engineering Group (스마트 시티 개발)
  5. Kiewit Corporation (교량 및 터널 시공)
  6. Turner Construction (고층 빌딩 전문)
  7. Skanska USA (탄소 중립 건설)
  8. Parsons Corporation (국방 인프라)
  9. HDR, Inc. (의료 시설 설계)
  10. Clark Construction (공항 인프라)

대한민국 대표회사(10개)

  1. 삼성물산 건설부문
  2. 현대건설
  3. GS건설
  4. 대우건설
  5. SK에코플랜트
  6. 포스코건설
  7. 한화건설
  8. DL이앤씨
  9. 효성중공업
  10. 대한토목학회

향후 10년 비전
5점 만점 중 4.5점

  •   성장 동력:
    1. EU 그린딜 정책(2030년 건물 에너지 효율 40% 개선 목표)
    2. 스마트 시티 투자 확대(빈 시 220억 유로 예산)
    3. 기후변화 대비 홍수 방지 시설 수요 증가

학위 과정별 세부 정보

  •   학사과정: 3년(6학기) / 180 ECTS
  •   석사과정: 2년(4학기) / 120 ECTS
  •   박사과정: 3년(6학기) / 180 ECTS
  •   석박사통합과정: 미제공

유럽 주요 기술대학 비교표


 

구분 TU Wien TU Graz ETH 취리히 TU 뮌헨 Universität Wien
교육 초점 지진 공학 수력 발전 설비 교량 동역학 자율주행 건설 장비 도시 사회학
연구비 규모 연 1,800만 유로 연 1,200만 유로 3,200만 유로 2,700만 유로 900만 유로
산학 협력 STRABAG, PORR Andritz, voestalpine 스위스 연방철도(SBB) Siemens, BMW Wiener Linien
특화 기술 디지털 트윈 AI 기반 품질관리 양자역학 구조 해석 3D 프린팅 건설 역사적 건축물 복원

공식 링크

영상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www.tuwien.at/cee/studium/bauingenieurwesen

 

Bauingenieurwesen | TU Wien

Bauingenieur*innen konzipieren, planen, bauen und erhalten unsere Umwelt. Dies wird deutlich in sichtbaren und "nicht sichtbaren" Produkten ihrer Arbeit, wie z.B. Gebäuden, Brücken, Tunnel, Straßen, Dämme, Kläranlagen, Deponien, Kraftwerke, Trink- un

www.tuwien.at

 

 

 

 

 

 

 

다녀가신 흔적은 아래의 하트 모양의 공감 ()을 눌러서 남겨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로그인하지 않으셔도 공감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