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 & 학위/대학 (원)

TU Wien 환경공학(Umweltingenieurwesen) 종합 가이드

by 친절한 로젠 2025. 5. 18.

 




TU Wien 환경공학은 2025년 신설된 6학기 학사 프로그램으로, 인간·기술·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분석합니다.
EU 그린딜 정책에 부응하는 기후 리스크 관리자원 순환 시스템 설계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빈 시청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 중심 교육을 강화하며, 글로벌 환경 문제 해결 인재를 양성합니다.


STEM 여부

Yes (EU STEM 분류 코드: ENG-ENV-05)


학위 과정별 전공 수업 제목

  1. 환경화학(Umweltchemie)
  2. 지속가능 자원 관리(Nachhaltiges Ressourcenmanagement)
  3. 수질 모니터링(Wasserqualitätsüberwachung)
  4. 대기 오염 제어(Luftreinhaltungstechnik)
  5. 폐기물 재활용 기술(Abfallrecyclingtechnologien)
  6. GIS 기반 공간 분석(GIS-Raumanalyse)
  7. 기후 변화 모델링(Klimawandelmodellierung)
  8. 환경 법규 준수(Umweltrechtliche Compliance)
  9. 재생 에너지 시스템(Erneuerbare Energiesysteme)
  10. 생태 공학(Ökologische Ingenieurwissenschaften)
  11. 토양 복원 기술(Bodensanierungstechnik)
  12. 환경 영향 평가(Umweltverträglichkeitsprüfung)
  13. 수자원 공학(Wasserressourcenwirtschaft)
  14. AI 기반 환경 예측(KI-gestützte Umweltprognose)
  15. 친환경 건설 소재(Ökologische Baumaterialien)
  16. 탄소 중립 도시 설계(CO2-neutrale Stadtplanung)
  17. 환경 데이터 과학(Umweltdatenwissenschaft)
  18. 산업 생태학(Industrieökologie)
  19. 그린 인프라 계획(Grüninfrastrukturplanung)
  20. 글로벌 환경 정책(Globale Umweltpolitik)

취업률

5점 만점 중 4.5점

  •   2025년 예상 석사 졸업생 89% 6개월 내 취업
  •   주요 진출 분야: 환경 컨설팅(35%), 공공 정책 기획(28%), 친환경 기술 개발(20%)

AI 대체 가능성

5점 만점 중 2.4점

  •   대체 가능 영역: 데이터 수집(40%), 기본 시뮬레이션(32%)
  •   대체 저항 요인:
    ■   현장 조사 및 물리적 개입 필요
    ■   EU 환경규제(EU Environmental Directives) 해석
    ■   이해관계자 협상 역량

주요 분야

  •   기후 적응형 인프라(Klimaanpassungsinfrastruktur)
  •   스마트 물 관리(Smart Water Management)
  •   순환 경제 시스템(Kreislaufwirtschaftssysteme)
  •   도시 열섬 완화(Städtische Hitzeinselreduktion)

오스트리아 대표회사(10개)

  1. STRABAG SE (친환경 건설 프로젝트)
  2. PORR AG (스마트 도시 인프라)
  3. Verbund AG (재생 에너지 공급)
  4. Umweltbundesamt (국가 환경 연구소)
  5. A1 Telekom Austria (스마트 계량 기술)
  6. Kapsch TrafficCom (지능형 교통 관리)
  7. EVN AG (폐기물 에너지 변환)
  8. Andritz AG (수처리 설비)
  9. Wiener Linien (대중교통 탄소 중립화)
  10. Biogena GmbH (바이오 기반 소재)

독일 대표회사(10개)

  1. Siemens Energy (그린 수소 기술)
  2. Deutsche Bahn (친환경 철도 네트워크)
  3. Fraunhofer UMSICHT (순환 경제 연구)
  4. Hochtief (탄소 중립 건설)
  5. BMW Group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6. BASF (친환경 화학 공정)
  7. GIZ (국제 개발 협력 프로젝트)
  8. TÜV SÜD (환경 인증 서비스)
  9. E.ON SE (스마트 그리드 운영)
  10. KfW (환경 프로젝트 금융)

미국 대표회사(10개)

  1. AECOM (종합 환경 컨설팅)
  2. Jacobs Engineering (기후 적응 설계)
  3. Tesla (그린 팩토리 혁신)
  4. 3M (나노 필터 기술)
  5. IBM (AI 기반 환경 모니터링)
  6. GE Renewable Energy (풍력 터빈 개발)
  7. Waste Management (스마트 폐기물 처리)
  8. CH2M Hill (수자원 관리)
  9. Black & Veatch (친환경 인프라)
  10. Arcadis (도시 재생 프로젝트)

대한민국 대표회사(10개)

  1. 한국환경공단 (환경 영향 평가)
  2. 삼성물산 (친환경 건축)
  3. SK에코플랜트 (폐기물 에너지화)
  4. LH토지주택연구원 (스마트 시티 설계)
  5. 포스코 (그린 스틸 혁신)
  6. 한화솔루션 (태양광 패널 재활용)
  7.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 물 관리)
  8. 에코프로 (배터리 재처리 기술)
  9. 한국기계연구원 (저탄소 공정 개발)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탄소 중립 인프라)

향후 10년 비전

5점 만점 중 4.7점

  •   성장 동력:
    ■   글로벌 환경 기술 시장 2030년 1.3조 달러 전망
    ■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수요 증가
    ■   기후난민 대비 도시 계획 의무화 확대

학위 과정별 세부 정보

  •   학사과정: 3년(6학기) / 180 ECTS
  •   석사과정: 2년(4학기) / 120 ECTS
    •   전문화 트랙:
      ■   기후 리스크 공학(Klimarisikoingenieurwesen)
      ■   순환 자원 시스템(Kreislaufsystemtechnik)
  •   박사과정: 3년(6학기) / 180 ECTS
    •   연구 분야:
      ■   양자컴퓨팅 기반 환경 모델링
      ■   생분해성 소재 개발
  •   석박사통합과정: 미제공

유럽 주요 기술대학 비교표

 

구분 TU Wien TU Graz ETH 취리히 TU 뮌헨 Universität Wien
교육 초점 실용적 환경 기술 통합 수소 에너지 인프라 이론적 기후 모델링 첨단 재활용 공정 환경 정책 경제학
연구비 규모 연 2,500만 유로 연 1,800만 유로 4,200만 유로 3,600만 유로 900만 유로
산학 협력 기업 STRABAG, Verbund AVL, Magna ABB, Nestlé Siemens, BMW Stadt Wien
특화 기술 도시 열섬 감소 기술 그린 수소 생산 시스템 나노 필터 소재 개발 AI 기반 폐기물 분류 역사적 환경 데이터 아카이브
 

TU WEIN의 소개 자료: https://www.tuwien.at/cee/studium/umweltingenieurwesen